오피니언 홈
Headline News
-
사설
한미 관세협상 무난한 출발, 국익 지킬 '7월 패키지' 기대한다
한국과 미국이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, 통상 문제를 포괄적 협의로 풀기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. 24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'2+2 통상협의'에서 양측은 관세·비관세조치, 경제안보, 투자협력, 환율 등 4대 분야를 묶은 이른바 '7월 패키지'를 마련하자는 데 공감했다. 최 부총리는 "협..
2025-04-25 17:26:47
-
아이디
-
사설
무전기 갖고 韓전투기 촬영한 中고교생들…철저히 배후 밝혀야
2025-04-25 17:26:47
-
사설
AI와 실용 강조하면서 원전 확대 말 흐리는 李
2025-04-25 17:26:47
-
독서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
오늘의 칼럼
-
조성준의 파도
고시원에서 만난 평행우주
지난해 초 한 달 동안 고시원에 살았다. 오래된 아파트로 이사하며 리모델링이 필요했고, 공사 기간에 머물 곳이 필요했다. 아내와 이제 막 돌이 지난 아이는 처형 집으로 갔다. 나까지 얹혀살기엔 염치가 없었다. 처형 집 근처에 고시원을 구했다. 낮에는 일하고, 저녁엔 가족을 보러 갔다가, 밤이면 혼자 고시원으로 건너왔다. 고시원 풍경은 익숙했다. 20대 시절
2025-04-25 17:30:30
-
매경춘추
쿠오바디스, AI
인공지능(AI)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신생 학문이다. 현재의 AI는 인간의 질문에 완전한 답을 주기보다는, 오히려 더 깊은 질문을 유도하는 지적 파트너에 가깝다. 앞으로 AI는 어디로 갈까? AI의 발전을 다섯 단계로 나눠보자. AI 1.0은 기계학습의 시대였다. 1950년대 앨런 튜링의 질문 "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?"에서 시작해 ..
2025-04-25 17:43:02
-
성유미의 멘탈 이코노미
남의 불행 즐기는 '악마같은 마음'
독일 속담을 소개한다. 'Die reinste Freude ist die Schadenfreude.' 이는 '남의 불행 혹은 곤경을 볼 때 우리는 가장 원초적이고도 순수한(?) 즐거움을 느낀다'는 의미다. '샤덴프로이데'라는 낯선 단어와 함께 '악마스러운 마음'을 살펴볼까 한다. 솔직히, 우리 다 한 번쯤 느껴봤을 거다. 잘나가던 동창이 망했다는 소식에 속
2025-04-25 17:30:29
매경포럼
더보기매경데스크
더보기오피니언 목록
-
사외칼럼
- 매경시평 신장섭의 기업과 경제 글로벌포커스 매경의 창 세상사는 이야기 매경춘추 기고 독자칼럼 테마진단 매경이코노미스트 팀 알퍼의 영국통신 이상엽의 과학기술 NOW 캐슬린 김의 예술법정 사진은 말한다 Financial Times 칼럼